폭우와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늘고 있는 가운데,
집중호우 시 침수와 산사태에 대비하는 구체적 행동요령을 상황별로 정리했습니다.
※ 집중호우 시 침수와 산사태 상황을 표현한 행동요령 안내 이미지입니다.
1. 침수 피해 시 행동요령
침수는 예고 없이 빠르게 일어나는 대표적 재난 중 하나입니다.
비가 강하게 내릴 때는 저지대나 반지하,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등이 급속히 물에 잠기기 쉽기 때문에 빠른 판단과 행동이 생명을 좌우합니다.
물이 들어오기 시작했다면 전기차단기를 내리고, 휴대폰과 중요한 서류, 약품 등을 챙겨 높은 곳으로 대피하세요.
엘리베이터는 정전이나 고립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이미 물이 차오른 곳은 감전 가능성이 높으므로 진입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도로 위에서 도보 이동 중일 경우 맨홀 뚜껑이 열려 있을 수 있으니 물 위에 떠 있는 물체나 돌출물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무엇보다 사전에 침수 위험 지역 정보를 확인하고, 기상청의 실시간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2. 산사태 발생 전·후 대응법
산사태는 주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후 지반이 약해졌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비가 100mm 이상 내릴 경우 급경사지나 옹벽 주변은 매우 위험해지므로 주민들은 지자체나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예보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사전에 경보가 발령되면 해당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공공시설이나 친척 집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세요.
창문이나 유리문은 신문지나 테이프를 붙여 유리 파편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침구류나 소지품은 가능한 높은곳에 올려 피해를 줄입니다. 만약 산사태가 시작됐다면 큰 소리로 가족에게 알린 후, 무조건 위쪽이 아닌 옆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합니다. 산사태는 아래 방향으로 빠르게 흘러내리는 재난이기 때문에, 그 흐름에서 벗어나려면 옆으로 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흙과 돌이 예상보다 빠르게 흘러내리기 때문에 망설임 없는 즉시 행동이 중요하며, 발생 후에는 주변의 2차 붕괴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이동해야 합니다.
3. 차량 침수 예방과 보험처리
자동차는 침수되면 수백만 원 이상의 수리비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침수 우려가 있는 지하주차장, 하천변, 또는 저지대에는 절대 주차하지 않아야 하며, 기상특보 시에는 고지대로 미리 이동시켜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만약 차량이 이미 물에 잠겼다면 시동을 걸지 말고 보험사에 먼저 연락하여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자차 보험 특약에 '침수 피해 보장'이 포함돼 있다면 보상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지하주차장 침수는 아파트 관리 소홀 여부에 따라 책임 소재가 나뉘기도 하므로 사진이나 영상으로 침수 당시 상황을 기록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량의 흙탕물 흔적이나 냄새 등도 향후 분쟁 시 증거가 되며, 보험 접수 후 견인 요청도 바로 진행해야 합니다. 침수된 차량은 내부 전기계통이 손상됐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직접 시동을 거는 행동은 절대 피해야 합니다.
4. 기상특보 확인 및 긴급대피 요령
폭우가 쏟아지는 시기에는 기상청, 행정안전부, 지자체 등에서 발송하는 재난문자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스마트폰에 '기상청 날씨 앱'이나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해 실시간 특보를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우주의보 또는 경보 단계에서는 해당 지역 침수, 붕괴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대피소 위치, 대피 경로, 교통통제 구간 등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안전한 행동입니다.
대피가 필요할 때는 고령자, 아동, 반려동물을 우선 챙기고, 손전등, 휴대폰 보조배터리, 식수, 약품 등 비상물품은 미리 가방에 담아 이동합니다. 또한 지역 방송이나 관공서 안내방송을 통해 실시간 지침을 따르며, 대피소 도착 후에는 이름과 연락처를 등록하고, 지침에 따라 생활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나만은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버리고, 예보 단계에서 미리 이동하는 선제적 판단입니다.
이번 집중호우는 단순한 여름철 비가 아니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재난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오늘 정리한 침수, 산사태, 차량 침수, 대피요령은 누구에게나 해당될 수 있는 실제 상황입니다.
매년 반복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정보 확인과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안전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주변에도 함께 공유해주시길 바랍니다.